반응형

- 23

15. 동시대의 감각을 보여주는 예술가, 볼프강 틸만스 Wolfgang Tillmanns

독일 출신 영국에서 활동하는 포토그래퍼 볼프강 틸만스는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브렉시트(Brexit, British withdrawal from the European Union)를 반대하며 만든 포스트 여러장을 인스타그램(Instagram)과 개인홈페이지(http://www.tillmans.co.uk)에 게시했었다. 자신의 사진을 바탕으로 “No man is an island. No country by itself.”와 같은 문구가 씌여진 포스터는 여러가지 버전으로 제작되었고, 틸만스는 사람들이 이 포스터를 자유롭게 가져가 퍼뜨릴 수 있도록 했다. “나는 내 나름의 이상적인 아름다움에 대한 생각과 내가 살고자하는 세상에 대한 그림을 그리고 싶다.” 예술가들이 잘 사용하지 않는 SNS를 통해 정치, 사회..

winds/Artists 2024.02.14

14. 고통을 정화하는 예술가, 루이스 브루주아 Louise Bourgeois

부처는 삶이 고통이라고 말한다. 실존주의 철학자 쇼펜하우어는 삶이 고통의 연속이라고 말한다. 붙잡아 둘 수 없이 흘러가는 시간과 한정적인 물질 세계 속에서 살아가는 삶은 고통이라고 할만 한 것 같기도 하다. 잠시 즐거움과 행복을 찾더라도 나를 괴롭게 하는 고통과 두려움은 어느새 다시 나에게 찾아온다. 그렇다면, 우리는 고통스러운 삶 속에서 살아야만 하는 것일까? 부처는 고정된 나의 모습에 집착하는 것을 버리고 팔정도를 따름으로써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말했고, 쇼펜하우어는 환경이나 주변이 아니라 현실을 대면하고 나의 내면에서 행복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한 예술가는 자신의 괴로움을 작품으로 승화시키면서 고통을 정화한다. 우리에게는 거대 거미 “마망 Maman”으로 잘 알려진 루이스 브루주아(Loui..

winds/Artists 2024.02.14

Magnet 마그넷 | Mac용 윈도우 관리 앱 App store 다운로드

친구의 추천으로 마그넷이라는 어플을 처음 써보았다. 마그넷은 Mac OS 전용 어플로, 화면에 가득 떠 있는 윈도우들을 편리하게 정리할 수 있는 앱이다. 윈도우즈에서는 원래 제공되는 기능이라 편하게 썼었는데, 맥에서는 일일이 화면 크기를 조정해야 하는 것이 불편해서 필요하던 찰나였다. 어플 설치를 완료하니 아래와 같이 안내창이 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단축키도 있지만, 윈도우즈에서 가능했던 것처럼 마우스로 윈도우를 잡고 화면 모서리와 코너로 드래그하면 자동으로 크기가 잡힌다. 양 모서리로 갖다 댔을 때는 4분의 1크기로, 화면 위쪽에 가져갔을 때는 전체 화면, 화면 아래쪽에 가져갔을 때는 3분의 1분할이 된다. 앱스토어에 가보면 다양한 분할과 단축키들이 설명되어 있다. 가격도 저렴하고, 윈도우 쓸..

softly/Review 2024.02.14

안티 오이디푸스 | 1장 4절 유물론적 정신의학 정리

안티 오이디푸스 | 들뢰즈 & 과타리, 김재인 옮김, 민음사 1장 욕망 기계들 4절 유물론적 정신의학 (54-73) *들뢰즈, 과타리를 구분하지 않고 들뢰즈로 통칭했다. 사실 어디서 구분되는지도 잘 모르겠다. 일단 1장 1절 읽을 때부터 무슨 말인지 하나도 모르겠었는데, 4절을 읽는 지금도 여전히 하나도 모르겠다. 그래도 일단 내일이 스터디니까 열심히 정리해보기로 한다...(소제목만 먼저 내리 다 썼는데 답이 없다 큰일..) 무의식과 생산의 범주 (54-55) 전체적 체계적 성격의 망상은 부분적 국지적 자동증들에 비하면 2차적이다 _정신의학자 클레람보(54) ...후.. 들뢰즈는 클레람보의 명제에 대해 동의하는 듯 하면서 다시 까고 있다. 이건 들뢰즈가 갖고 있는 글쓰는 패턴같은 건데 꼭 처음에는 자기가..

winds/들뢰즈 2022.07.09

장영혜중공업 홈페이지

https://www.yhchang.com/ YOUNG-HAE CHANG HEAVY INDUSTRIES PRESENTS FREE E-B00K YOUNG-HAE CHANG HEAVY INDUSTRIES PRESENTS 75 MILLI0N AMERICANS HATE MY GUTS GUNS 'N' ASIANS I WANT T0 DIE SCREAMING UNCLEAR C.D.C. WARNS 0F AGGRESSIVE PE0PLE SEARCHING F0R F00D DURING SHUTD0WNS WA'AD ENGL www.yhchang.com 아까 본 영상 때문에 관심이 생겨 장영혜중공업에 대해 검색해봤다. 간단하게 타이틀만 나열된 홈페이지에 작품들이 많아서 하나씩 클릭해서 보고 있는데, 다 너무 재밌다. 이름도 마..

Some 2021.08.22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삼성의 뜻은 재탄생_장영혜중공업

https://youtu.be/yoLDYauvq44 출처 :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유튜브 채널 제 11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의 첫 온라인 프로젝트로 소개된 장영혜중공업의 . 우연하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홈페이지에 들어갔다가 만나게 된 영상 작업이다. 제7화까지 홈페이지에 업로드되어 있고, 이 글에 링크된 영상은 제1화 임원이다. 홈페이지에서는 "노동의 조건, 대기업이 현대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 전지구적 자본주의를 작가 특유의 유머로 꼬집는다"고 소개하는데, 소개에 걸맞게 무엇보다 웃기고 재밌었다. 너무 웃겨서 슬프고, 슬픈데 웃기고, 웃겨서 허탈하고, 허탈한데 말이 돼서 재밌었다. 타이포그래피로만 이루어진 영상은 과로로 쓰러진 사람에게 걱정말라고 한다. 우리가 믿는 종교에 따르면 인생이란 원환처럼..

Some 2021.08.22

큐브 CUBE (1997) "La solution est en vous"

La solution est en vous CUBE (1997) 2020년 1월 1일이 된 기념으로 무슨 영화를 볼까 하면서 왓챠를 둘러보았다. 큐브는 어릴 때 학교에서 조금, 집에서 영화채널을 통해 조금 보았던 영화다. 내용은 잘 기억나지 않는데, 큐브에서 절대 빠져나올 수 없다는 공포가 어렴풋이 남아있다. 어쨌든 가장 첫 번째로 이 영화가 떠 있었다. 공포나 스릴러 장르는 혼자서는 절대 보지 않는 편인데, 오늘 따라 왠지 모를 용기가 더 이상의 고민 없이 영화를 선택하게 했다. 해가 달라져서 그런지 나도 좀 더 큰 것 같다는 어린 생각을 하며 영화를 보기 시작했다. 첫 번째 씬이 사실 가장 잔인하고 징그러웠다. 큐브의 잔인함과 맹목성, 조심해야 할 수밖에 없는 갇힌 자들에 대한 경고 같기도 했다. 본..

winds/Movie 2020.01.02

고백

난생 처음으로 한국의 성당에 들어가 보았다. 도서관에서 책을 빌리고 좀 머물다가 오후 7시 청년 미사에 가려고 했는데, 열람실이 5시까지였다. 급하게 연체료를 내고 정지되어 있던 대출 카드를 풀었다. 써야 할 페이퍼를 위한 책 한 권과, 지금 내게 또 한번 어떤 길잡이라던가 실마리를 던져 줄 수 있을 거라는 간절함이 깃든 책을 빌렸다. 도서관을 가는 길에 그 제목이 한 번, 파울로 책이 잔뜩 꽂혀 있는 서고에서 또 한 번 내 눈길을 사로잡았다. 더 많은 고민을 할 시간이 없었기 때문에 라캉과 코엘료의 책을 집어들고 도서관을 나섰다. 사서에게 줄을 설 필요도 없는 참 편리한 세상이라는 생각을 하면서. 도서관 바로 옆에 위치한 성당에 약간 긴장한 상태로 들어섰다. 오후 7시까지 그냥 성당 안에 앉아 있어도 ..

Some/Essay 2019.12.15

조커 Joker (2019) 블랙 미러 코미디

블랙 미러 코미디(Black mirror comedy) 영화 「조커」, 토드 필립스 감독 우리들 중 진정한 나 자신이 아니기를 요구받지 않는 사람이 있을까? 어쩌면 모두 조금씩은 타인의 모습을 빌려 쓰고 있는 것일지 모른다. 사회 속에서 나를 대신하는 가면이 바로 페르소나(persona)다. 우리는 여러가지 페르소나를 뒤집어쓰고 자신을 감추거나 억압한다. 우리에게 요구되는 다른 사람이 되려고 가끔은 가면 몇 개를 억지로 덧쓰기도 한다. 필요할 때는 예의를 차려야 하고, 경우에 따라 화도 삭힐 줄 아는 사람이 된다. 웃고 싶지 않을 때 웃어야 하며, 울고 싶지만 울 수 없는 때가 있다. ‘정신질환의 가장 안좋은 점은 사람들 앞에서 아닌 척 해야 한다는 것이다’라는 아서의 말처럼 늘 어떤 척을 하느라 기력을..

winds/Movie 2019.12.04

13. 순수하고 생생한 즐거움, 데이비드 호크니 David Hockney

당신은 언제 살아있음을 느끼는가? 몇년 전, 경상북도 청도의 시골 길을 매일 아침 자전거로 누비게 된 적이 있었다. 매일 가는 똑같은 길임에도 불구하고 구름의 양과 햇빛의 농도, 바람의 세기와 온도에 따라 매 번 낯설고 신비롭게 느껴졌다. 자전거를 타고 달리며 맞는 바람과 햇살, 신선한 공기와 주변에서 예기치 않게 등장하는 오리 가족이나 백로와 같은 동물들은 각각의 색깔을 입은 다채로운 하루의 시작을 만들어주었다. 자연과 가까운 곳에서 페달을 밟으며 느꼈던 모든 순간들이 살아있었고, 그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다. 생존하는 가장 영향력있고 인기있는 작가들 중 한 명인 영국의 데이비드 호크니(David Hockney)는 자신의 생애를 통해 생생한 살아있음을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다. 1937년, 영국 요크셔에서..

winds/Artists 2019.12.04
반응형